본문으로 바로가기
반응형

미국의 철강 산업 관련 무역 규제가 발표됐다. 국내 철강산업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봤으며 오히려 중국 철강업체의 구조조정이 가속화돼 국내 철강업체에는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분석도 나왔다. 


미국의 한국산 철강 제품에 대한 관세폭탄 우려에 철강주가 동반 약세를 보이고 있다. 

POSCO를 비롯한 현대제철, 동국제강, 포스코강판, 휴스틸, 세아제강, 세아베스틸 등의 철강주가 2~5% 동반 하락 중이다. 


미국 상무부는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른 철강 수입 안보 영향 조사 보고서를 공개하면서 53%에 달하는 고율의 관세를 부과할 수입 규제 대상 12개 나라에 한국을 포함했다. 


미 상무부는 과도한 철강 수입으로 인한 미국 철강 산업의 쇠퇴에 대해 "미국 경제 약화를 초래해 국가안보를 손상할 위협이 있다"고 결론 내렸다. 이에 따라 모든 국가의 철강 수출을 2017년의 63% 수준으로 제한하는 쿼터(할당)를 설정하거나 모든 철강 제품에 일률적으로 24%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미국 상무부가 백악관에 제출한 무역확장법 232조에 대한 보고서 내용이 공개됐다.


▲모든 국가에 대해 2017년 대미 철강 수출액의 63%로 쿼터제를 도입하는 방안

▲한국을 포함한 12개 국가 철강제품에 대해 53% 이상 관세 부과

 ▲모든 국가 철강제품에 대해 24% 관세 부과 


이를 토대로 한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 명령은 늦어도 4월 11일 안에 내려질 예정이다. 

보고서 내용은 미국 상무부의 ‘추천’이라 트럼프 대통령이 해당 요구안을 무조건 결정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관련 업계는 미국 보호무역주의 강화 기조를 고려할 때 철강 산업의 불확실성을 높이는 요소로 받아들이고 있다. 


이미 포스코와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 대형 철강업체들의 대미 수출량은 2016년 8월 주요 제품에 대한 고관세 부과 이후 감소해 왔기 때문에 이번 조치가 시행된다 하더라도 그 효과는 제한적일 것.


한국 철강업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오히려 경쟁력 있는 철강 기업들에는 이번 미국 무역 규제가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미국의 철강 무역규제 강화가 경쟁력있는 철강사에는 기회 요인이 될 수도 있다고 본다.

규제를 계기로 중국을 필두로 한 글로벌 철강 구조조정이 가속화된다면 철강 가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무역확장법 232조의 궁극적인 목적은 미국의 철강 설비 가동률 상승에 있다.

미국의 17년 평균 가동률은 약 74%로 추정되는데 이를 80%로 올리기 위해서는 수입이 2017년 대비 약 37%, 1300톤 감소해야 한다는 논리이기 때문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