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반응형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는 27일(현지시간) 추수감사절 연휴 이후 가장 큰 온라인 할인 행사가 진행되는 사이버먼데이의 소비 기대가 지속 됐지만 혼조세를 나타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22.79포인트(0.10%) 상승한 23,580.78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1포인트(0.04%) 내린 2,601.42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0.64포인트(0.15%) 하락한 6,878.52에 장 마감


다우지수와 S&P 500 지수는 

각각 23,638.92와 2,606.41까지 상승했고, 


나스닥지수는 6,897.43까지 올라 

3대 지수는 장중 최고치를 경신했다.  



시장은 사이버먼데이 소비와 일부 기업의 인수·합병(M&A) 등을 주목했다. 


메이시스와 콜스가 각각 0.7%와 0.3% 상승했고

JC페니의 주가도 2.8% 강세를 보였다. 


아마존의 주가도 연휴 기간 소비 기대에 0.8% 상승하며

지난주 상승 흐름을 이어갔다. 


아마존 주가는 블랙프라이데이를 시작으로 

한 연말 소비 기대 등으로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시사주간지 타임의 주가는 M&A 기대에 9.5% 급등했다. 

타임의 주가는 출판 미디어 기업 메레디스(Meredith)가 타임을 

18억5,000만 달러에 인수하기로 했다는 소식에 강세를 보였다.


메레디스의 주가도 10.7% 상승했다.  



마이크론 테크놀로지와 엔비디아의 주가는 

각각 3.3%와 1.3% 하락했다.



하드 드라이브 제조업체인 

웨스턴 디지털의 주가도 6.7% 내렸다. 


모건스탠리가 삼성전자에 대한 투자 의견을 하향하며

삼성전자 주가가 5% 급락세를 보인 것이 반도체 관련주 하락을 이끌었다. 


애널리스트들은 미 경제의 성장동력인 소비가 

긍정적인 모습을 보인다며 증시가 추가 상승할 여력을 축적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국내 증시 및 주요 리포트



10년 만에 800선을 돌파한 후 코스닥지수 차익실현 매물 출회

시총 상위 바이오주들은 약세 / 신라젠, 티슈진 등도 4~5%

셀트리온, 셀트리온헬스케어, 셀트리온제약이 1~2%대 하락 




엔씨소프트


리니지M의 대만출시가 다음달 11일로 결정

사전예약 250만 돌파


시장 기대치를 상회하는 흥행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

'블레이드&소울2' 등 신작도 출시 일정이 다가오면서 주가 상승기를 이끌 것



코오롱 생명과학


7월 국내 최초 세포유전자치료제 인보사 승인. 

티슈진 상장으로 다시 부각된 인보사의 가치 


인보사가 승인 전부터 시장의 관심을 끌었던 이유는 

바로 높은 치료율과 함께 주사로 투여할 수 있는 편의성이 제고된 제품이기 때문



선도전기


57억724만원 규모 삼성전자 평택 메모리 현장 고·저압반 납품건 수주했다고 공시했다. 

매출액 대비 6.07% 규모며 계약기간 오는 2018년 2월 28일까지다. 


이엔쓰리


 그래픽스 처리 유닛을 이용한 사진트리 기반 지형의 렌더링 방법 및 

지리정보 제공하는 디지털 카메라에 대한 특허권 취득했다고 공시했다.



한국프랜지


손진현 대표이사 새로 선임했다고 공시했다. 

강호돈 대표이사 사임에 따른 신규 선임이라는 회사 측 설명이다.



후성


반도체 특수가스 생산시설에 554억원 투자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자기자본 대비 33.91%에 해당하는 규모다. 



제이씨케미칼


시설 자금 마련하려고 100억원 규모 전환사채(CB) 발행한다고 공시했다. 

시너지투자자문 및 KB증권 등이 전환사채를 인수한다.



아이엠


자회사 사업역량 강화 위해 아이엠 디지탈 필리핀 지분 취득한다고 공시했다. 

54억 2500만원을 출자하며 보유 지분율은 100%다.



와이지-원


운영자금 조달 위해 신한금융투자 케이비증권 이베스트투자증권 등을 

대상으로 상환전환우선주 발행해 140억원 조달한다고 공시했다. 

신주 발행가 1만 4850원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