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반응형


| 남북경협 관련주 총정리 (8월 남북미중 4자 종전선언, 남북경협 관련주 기대감)



개성공단 관련주

좋은사람들, 재영솔루텍, 제이에스티나, 신원, 인디에프, 코데즈컴바인, 쿠쿠홀딩승, 태평양물산, 자화전자


건설 관련주

GS건설, KCC건설, 계룡건설, 남광토건, 남화토건, 동신건설, 대우건설, 대림산업, 범영건영, 태영건설, 이화공영, 삼호개발, 특수건설, 현대산업, 한라, 코오롱글로벌, 화성건설, 동부건설, 진흥기업, 예스와이패널


시멘트, 레미콘, 아스콘 관련주(남북도로 연결)

고려시멘트, 삼표시멘트, 현대시멘트, 아세아시멘트, 한일시멘트, 모헨즈, 유니온, 아세아, 유진기업, 쌍용양회, 성신양회, 부산산업, 유진기업, 서산, 동양, 대림씨엔에스, 동양파일, 보광산업


건자재 - 거푸집, 페인트, 타일, 도기, 바닥재, 합판 관련주

노루페인트, 삼화페인트, 조광페인트, KCC, 강남제비스코, 노루홀딩스, 한솔씨앤피, 아이에스동서, 대림B&Co, 와토스코리아, 대림통상, 이건산업, 국영지앤엠, 한솔홈데코, 남선알미늄, 선창산업, 성창기업지주, LG하우시스, 동화기업, 유니드, 진양화학


건설 중장비

혜인, 우림기계, 에버다임, 수산중공업, 흥국, 진성티이씨, 동일금속, 두산인프라코어, 디와이파워, 서연탑메탈, 프리엠스, 대창단조, 두산밥캣, 삼원테크


남북철도, 시베리아 횡단철도 관련주

중앙오션, 대호에이엘, 대아티아이, 푸른기술, 우원개발, 세명전기, 현대로템, 특수건설, 에코마이스터, 옵티시스, 다원시스, 리노스, 피앤씨테크, 비츠로시스, 동신건설, 이화공영, 유신, 부산산업, 현대정보기술, 한국종합기술, 서암기계공업


남북러 가스관, 철강 관련주

동영철관, 코스코엠텍, 대동스틸, 하이스틸, 동국제강, 삼강엠앤티, 휴스틸, 디케이락, 화성밸브, 한국주철관, 세아제강, 금강공업, 조광ILI, 문배철강, 동양에스텍, 금강철강, 부국철강, 현대비앤지스틸, 대한제강, 영흥철강, 대창스틸, 현대제철


산림, 조림 관련주(북한 산림 복원)

한솔홈데코, 이건산업, 무림P&P, 무림SP, 무림페이퍼, 성창기업지주, 이건홀딩스, 아시아종묘, 한국카본, 제이씨케미칼, 페이퍼코리아, 선창산업, 디에스티, 대유에이텍, 자연과환경, 한익스프레스


농업, 비료, 농약, 농기계 관련주

남해화학, 조비, 효성오앤비, 경농, 농우바이오, KG케미칼, 동방아그로, 카프로, 성보화학, 롯데정밀화학, KPX생명과학, 동양물산, 대동금속, 아세아텍, 대동공업, 대동기어, 포메탈, 에스앤씨엔진그룹, 삼성공조


금강산 관광 사업, 이산가족 상봉 재개 관련주(적십자회담)

현대상선, 현대엘리베이, 아난티(구.에머슨퍼시픽), 현대건설


항만, 물류 관련주 (나진-하산 프로젝트)

케이엘넷, 토탈소프트, 동방, 국보, 서호전기, CJ대한통운, KCTC, 현대글로비스, 한솔로지스틱스, 인터지스, 동방, 한진, 국보, 한익스프레스, 선광, SG&G


북한개발 희토류, 광물, 마스네슘 관련주

에스아이리소스, 수산중공업, 텔레필드, 대창솔루션, 엘컴텍, 우림기계, 계약전기, 엔케이물산, 에버다임, 삼영엠텍, 티플랙스, 유니온머트리얼, 한국주강, 포스코엠텍, 영흥철강, 시노펙스, 유앤아이


DMZ 세계 평화 생태공원 사업 관련주

자연과환경, 이화공영, 대창스틸, 퍼스텍, 모헨즈, 코리아에스이, 좋은사람들, 누리플랜, 시공테크, 코아스, 일신석재, 삼륭물산, 하츠, 딜리, 국일신동, 지엠피, 싸아이테크, 이월드, 이구산업, 예스24, 대명코퍼레이션


DMZ 지뢰제거 관련주

퍼스텍, 유진로봇, 웰크론, 스맥


북한 전력공급 관련주

광명전기, 제룡전기, 제룡산업, 선도전기, 세명전기, 서전기전, 이화전기, 대원전선, 피앤씨테크, 비츠로시스, 비츠로테크, 대한전선, 갑을메탈, 페이퍼코리아, 보성파워텍, 성호전자


원전 관련주

한전산업, 한전기술, 한전KPS, 한국종합기술, 한국테크놀로지, 두산중공업, 비에이치아이, 비츠로테크, 오르비텍, 우진, 에스앤더블류, 대우건설, 유지인트


| 남북경협 및 종전선언 관련기사


정전체제 65년 만의 6ㆍ25전쟁 종식 선언에 중국이 참여할 전망이다. 정부가 이르면 다음 달 안에 남ㆍ북ㆍ미ㆍ중 4자가 ‘종전선언’을 채택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의 첫 단계라는 정치적 의미를 최대한 강조하되 협정으로서의 법적 성격은 최소화하는 방식이 될 것으로 짐작된다.


북미 협상 사정을 잘 아는 외교 소식통은 24일 “남ㆍ북ㆍ미ㆍ중 4자 종전선언을 추진하는 방향으로 정부 내에서 정리됐다고 들었다”며 “시기는 빠를수록 좋다는 게 정부 입장”이라고 전했다. 이 소식통은 “8월 중 종전선언 문제를 매듭짓는 방안도 정부가 고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외교부 당국자는 “판문점선언에 명시된 대로 연내 종전을 선언하는 게 여전한 정부 목표”라며 “시기와 형식 등은 관련국과 협의해 봐야겠지만 공감이 이뤄지면 지체할 이유는 없다”고 말했다. 


당초 청와대는 남ㆍ북ㆍ미 3자 종전 선언 방안에 무게를 실어 왔다. 중국의 한반도 문제 개입을 미국이 꺼려온 데다, 여러 이해관계가 포개질수록 평화체제 논의가 복잡해지고 속도가 더뎌질 수밖에 없다는 점을 걱정해서다. 


그러나 한반도 영향력 약화를 우려한 중국이 “한반도 문제의 주요 당사국이자 정전협정 서명 당사국으로서 계속 마땅한 역할을 하겠다”는 입장이어서 중국을 배제하는 게 현실적으로 여의치 않다. 정부의 전향에는 중국을 포함하자는 북한 요청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조야에선 “비핵화에 진전이 없는 상태에서 대북 군사 옵션 포기를 뜻하는 종전선언을 해서는 안 된다”는 우려와 저항이 상당하다. 그럼에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북한 체제안전 보장의 정치적 부담과 책임을 중국과 분담하는 게 불리하지만은 않다는 판단을 내렸을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9월 하순 유엔 총회를 염두에 뒀던 정부가 종전선언 시기를 당기려는 건 무엇보다 교착 조짐을 보이는 북미 협상에 동력을 불어넣는 일이 시급하다고 여겨서다. 정권 수립 70주년인 9월 9일까지 일정 성과를 거둬야 하는 북한 정권으로서도 9월은 늦은 감이 없지 않다. 


북한이 반대급부로 동창리 미사일 엔진 시험장(서해위성발사장) 폐쇄 조치를 시작한 정황이 포착되는 만큼 조기 종전선언에 북미가 공감대를 형성했을 가능성이 크다. 외교가에선 남ㆍ북ㆍ미ㆍ중 외교장관이 모이는 내달 초 싱가포르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에서 4자 간 실무 조율이 이뤄질 거라는 관측이 나온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