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반응형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기준금리를 인상했다. 3개월 만에 0.25% 포인트를 상향 조정했다.


연준은 2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마치고 “연금기금 금리를 현행 1.25~1.50%에서 1.50~1.75%로 0.25%포인트 인상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연금기금 금리는 미국의 기준금리에 해당한다. 연준은 찬성 8표 만장일치로 금리인상을 결정했다.


기준금리는 올 첫 분기에서 금리를 인상했다. 지난해의 경우 3차례 상향했다. 

‘제로금리’였던 2015년 12월 이후로는 6번째 인상이다. 연준은 “올해 3차례 기준금리를 올릴 것”이라며 올해 말 기준금리 전망치를 2.1%로 유지했다.


미국의 경제 성장에 대한 자신감은 기준금리 인상으로 이어졌다. 

연준은 성명에서 “미국 경기 완만하게 성장하고 있다. 최근 몇 달간 일자리가 늘었다”고 밝혔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한미 간 기준금리가 역전됐지만 외국인 자금 이탈 우려는 크지 않다는 분석이 나왔다. 



과거 한·미 기준금리가 역전된 사례는 

1999년 7월∼2001년 3월과 2005년 8월∼2007년 9월 두 번 있었다. 


당시 미국 기준금리가 한은의 콜금리(당시 기준금리)보다 높아지면서 한국도 금리 인상에 나섰지만, 미국보다 금리 인상 속도가 늦어 한동안 한·미 간 금리 역전 현상이 발생했다.


한·미 금리가 역전될 경우 시장 참여자들이 가장 주목하는 것은 한국 금융시장에 유입된 외국인 자금 흐름의 방향 변화다. 하지만 과거 두 차례 사례에서 급격한 자본유출은 발생하지 않았다. 


1999년 7월~2001년 3월에는 채권시장에서 자금이 유출됐고 

2005년 8월~2007년 9월에는 주식시장에서 외국인 자금이 이탈했지만, 

외국인 직접투자와 무역신용·대출 등 기타투자를 모두 포함한 전체 자본유출입은 해당 기간 모두 순유입을 기록했다. 국내 금융시장으로 오히려 외국인 자금이 더 많이 들어왔다는 의미다.


한은에 따르면 1999년 7월~2001년 3월, 채권시장에서 24억달러가 순유출됐지만 직접투자와 증권투자는 각각 121억달러, 197억달러 순유입됐다. 당시 채권시장에서 자금이 순유출된 것 역시 한·미 금리 역전에 따라 외국인 자본이 이탈한 것이 아니라 2년 전 발생한 외환위기 이후 외화 부채가 축소된 상황을 반영한 결과였다.


2005년 8월~2007년 9월에도 전체 자본유출입은 순유입을 기록했다. 직접투자가 67억달러 순유출됐고, 주식시장에서도 787억달러가 빠져나갔지만 채권시장에서는 오히려 293억달러가 순유입됐다.


한국무역협회는 22일 '미국 금리 인상과 우리경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통해 "최근 외국인들이 중장기 원화 채권 보유를 늘렸다는 점에서 외국인의 자금 이탈 우려는 크지 않다"고 밝혔다.

이주열 한은 총재 "FOMC 결정, 다소 매파적으로 해석할 수도"


또 보고서는 "작년 미국의 금리 인상(3월, 6월, 12월)에도 외국인 자금 유출은 없었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8~9월 국내 주식·채권시장에서 일시적으로 외국인 자금이 유출됐으나 이는 북한 미사일 발사 등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로 신용부도스와프 프리미엄이 상승했기 때문이라고 봤다.


보고서는 "한국은행이 지난해 11월 정책 금리를 1.25%에서 1.50%로 0.25%포인트 인상한 이후 신용리스크가 감소하면서 지난 1월부터 외국인 자금 유출이 진정됐다"고 분석했다. 

 

다만 "올해에는 미 국채수익률이 이미 높은 수준이므로 외국인 자금이 수익률을 따라 이동할 가능성이 커져 신속한 대응이 더욱 중요해졌다"며 "미국이 올해 금리 인상 횟수를 4회로 늘리고 인상 속도도 빨라질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미국 금리 인상이 빨라지면 신흥국으로부터 외화 유출이 가속화되면서 신흥국 경제가 불안정해질 수 있고 이는 우리 수출에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반응형